사천만 방류량 2300㎥/초 더 늘린다... 어업/침수피해 뻔해

남강댐에서 부산으로 물을 직접 빼가는 대신 홍수 철에 사천만으로 더 많은 물을 내려 보낸다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계획이 알려지면서 사천만 어민들이 반발하는 가운데 사천지역 저지대 침수피해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남강댐에서 부산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이른 바 광역상수원사업. 수자원공사에서는 이를 ‘남강댐 용수공급 증대사업’이라 부른다.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남강댐에서 관로를 통해 부산과 경남동부지역으로 하루 107만㎥의 물을 공급하고, 이를 위해 남강댐의 수위를 4m 더 높여 관리한다는 것이다. 즉 만수위를 41m에서 45m로 높임으로써 평소에 물을 더 많이 담아 놓겠다는 것.

하지만 이렇게 되면 홍수조절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35m~46m(46m는 홍수위)에서 홍수조절을 하고 있는데, 만수위가 올라갈 경우 37~46m에서 홍수조절을 해야 하는 상황. 따라서 방류량을 늘려 홍수조절기능을 높이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남강댐 용수공급 증대방안이 시행되면 사천만을 향하는 수로가 하나 더 생길 전망이다.

그래서 수자원공사가 생각하는 것이 가화천 방향으로 수로를 하나 더 만드는 것이다. 후보지는 진주시 내동면 미동마을 근처로, 국도3호선에서 대평/수곡방향(진수대교)으로 갈라지는 1049번지방도와 나란하게 보조수로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보조수로의 길이는 800m이고 폭은 80m이다. 경우에 따라 터널을 뚫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가화천 중 3.2㎞의 둑을 보강하는 것도 계획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전반적인 사업에 1조32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보조수로가 만들어지면 현재 3250㎥/초인 사천만 계획방류량을 5520㎥/초로 끌어올리고, 대신 남강 본류로는 800㎥/초이던 것을 200㎥/초로 낮추겠다고 하고 있다.

종합하면, 평소 남강댐에 물을 더 가두어 부산으로 공급하고 이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홍수는 남강쪽 방류량을 줄이는 대신 사천만 방류량을 더욱 늘려 대처하겠다는 것이다.

사천만으로 방류량을 늘리면 많은 피해가 예상된다. 수자원공사가 경상대 해양산업연구소에 맡겨 연구한 보고서에는 초당 1000㎥의 물만 흘려보내도 80억원의 어업피해가 발생하고 5000㎥/초 이상 흘려보낼 경우 100억원이상의 피해가 발생한다고 밝히고 있다.

계획방류량이 늘면 초당 1000톤 이상 방류하는 일이 잦아지게 된다.

피해는 어업분야에만 머물지 않는다. 방류량이 늘어나면 해수면이 올라가 해안 저지대 침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수자원공사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남강댐 방류량이 3000㎥/초에서 5460㎥/초로 늘어날 경우 가화천 하구는 75cm, 죽전천 하구는 43cm, 안도지점은 14cm 해수면이 올라간다. 여기에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해수면이 2~3m씩 더 올라간다고 밝히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해안지역에 사는 주민들이라면 굳이 연구자료가 아니더라도 경험을 통해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태풍에 바닷물 만조가 맞물리면 해수면이 수 미터씩 올라가는 것은 예사라고 한다. 실제로 지난 2002년과 2003년 태풍 ‘루사’와 ‘매미’가 닥쳤을 때 침수피해도 발생했다.

그러나 침수를 바라보는 수자원공사의 인식은 전혀 다르다. 태풍이 왔을 때 사천만 연안에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거나 일부 피해가 발생한 것은 자치단체가 하천관리를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남강댐 용수공급 증대방안’과 그로 인한 ‘남강댐 방류량 증대’와 관련해 사천시는 아직 이렇다 할 입장을 밝히지는 않고 있다. 다만 김수영 사천시장은 “지난 99년에 남강댐 보강공사를 할 때도 사천만으로 방류량을 늘린다는 것을 알리지 않았다”고 말하며 “이번에는 대처를 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이란 거대도시에 맑은 수돗물을 공급하겠다는 뜻으로 추진하는 ‘남강댐 용수공급 증대방안’. 결국 대도시에 혜택을 주기 위해 사천이란 소도시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아닌지 꼼꼼히 살펴볼 일이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