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광역 상수도사업계획. 부산시가 주 취수원인 낙동강 대신 남강 상류에서 원수를 공급 받아 부산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겠다는 게 계획의 골간이다. 1990년대부터 이야기가 나왔으니 20년을 훌쩍 넘긴 얘기다.

처음엔 남강 상류는 물론 황강 상류에도 댐을 지은 뒤 그 여유 수량을 부산취수장으로 도수관을 통해 곧장 가져가겠노라는 계획을 세웠다가 서부경남 주민들과 환경단체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좌초됐다.
당시 강변여과수 개발과 수돗물 유수율 높이기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1999~2000년 상황이다.

그런데 그 이후에도 남강 상류 이른 바 ‘지리산댐’ 건설 논란은 사라지지 않았다. 때로는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한다고 했다가, 때로는 홍수에 대비한다고 했다가, 아예 ‘식수댐’이란 이름으로 부르며 먹는 물로 사용
하겠다는 노골적 계획을 드러내기도 했다. 누가?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와 부산시가.

그러던 중 이명박 정부 집권시절 큰 변수를 맞았다. 4대강사업이었다. 사업을 앞두고 논란이 뜨거웠다. 핵심은 강을 살리겠다는 게 사업의 목표인데 과연 타당하냐는 거였다.

정부는 수질이 개선될 것이라 했고, 그러면 굳이 부산광역상수도사업도 필요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를 비롯한 상당수 국민들은 오히려 수질이 나빠질 것이라며 4대강사업 철회를 요구했다. 그 결과는?

정부는 사업을 강행했고, 댐이라 불러도 손색없을 대규모 보를 낙동강에만 여러 개 세웠다. 그리고 지금, 낙동강은 ‘녹차라떼’에 비유되며 심각한 몸살을 앓고 있다. 이게 지난 20여 년 동안 남강과 낙동강에서 벌어진 일들이다.

그런데 홍준표 지사는 또 무슨 생각에선지 남강물을 부산에 주자고 한다. 대신 남강 상류에는 지리산댐을 짓자고 한다. 도대체 무슨 꿍꿍이인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대한민국에서 물이 부족하다는 건 절대적 수량이 부족한 게 아니라 맑은 물이 가까이 있지 않음이다.

답은 간단하다. 4대강사업이란 이름으로 돈을 퍼부었던 것처럼 낙동강 수질관리에 돈을 퍼부어라. 그렇게 낙동강을 살려내라. 그 길만이 낙동강 수계 모든 도시의 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이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