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이후 전국 지자체에 교통복지 바람이 불고 있다. 선거 과정에 일부 후보자들이 ‘100원 택시’ ‘행복택시’ ‘희망택시’ 등등의 공약을 내세웠고, 이를 실천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공약은 불리는 이름이야 다르지만 크게 봐서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이 저렴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마련한 교통복지정책이다. 이미 지난해 충북 서천군이 이런 정책을 펴 주목 받았고, 올해 3월에는 전남 무안군이 비슷한 정책을 내놔 시행 중이다. 심지어 이낙연 전남도지사는 선거 과정에 전남의 모든 기초단체에 행복택시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해 준비가 척척 진행되는 모양이다.

전남의 발 빠른 움직임에 비해 경남은 미약하고 더디다. 하동군이 내년부터 시행하겠노라 선언한 정도. 물론 사천시도 긍정적이다. 송도근 시장과 김봉균 시의원이 ‘100원 택시’를 공약했고, 그에 따라 예산 확보와 조례 제정 등을 준비한단 소식이 들린다. 부디 하루라도 시행을 앞당겨 교통 사각지대에 있는 어르신들이 다니고 싶은 곳 마음껏 다닐 수 있길 바란다.

그러나 일종의 ‘100원 택시’로는 농어촌지역 교통복지에 한계가 있다. 사업비가 넉넉지 않은 까닭에 이용 대상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금 농어촌에는 버스가 들어간다고 해도 그 운행횟수가 극히 적어 있으나마나한 경우가 많다. 이 상태에서 ‘100원 택시’가 운행되면 오히려 수혜자들과 비수혜자들 사이에 갈등이 조장될 수도 있음이다.

따라서 농어촌지역 교통복지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버스공영제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사천시는 이미 시내버스업체에 유류비와 벽지노선비 등 한 해 수십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 동안 버스도 17대나 구입해 운행을 맡긴 상태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공영제로 갈 수 있다는 얘기다. 신안군의 경우, 공영제 과정에서 발생한 임금증가분이 총액임금제에 걸리지 않도록 비켜갔다. 현행 시내버스업체의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도 있는데, 수익성 있는 구간은 업체에 주고 나머지를 시가 맡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의지만 있으면 해법은 얼마든지 찾을 수 있음이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