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자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면서 사천시민들 사이에도 공포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라도, 강원도, 충청도가 차례로 뚫리고 경남과 인접한 부산시에서도 확진환자가 발생했다고 하니 우리가 사는 곳에도 메르스가 곧 들이닥칠 것이란 위기감의 발로다.

지금까지 메르스 전파경로를 보면 주로 병원에서 2차‧3차 감염으로 이어졌다. 환자의 안전지대여야 할 의료시설이 메르스 전파 취약지인 셈이니 이번 사태를 책임지고 있는 정부와 보건당국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어야 한다.

이런 가운데 시민들 사이엔 공공병원의 존재감을 새삼 깨닫는다는 반응이 많다. 평소 가난한 사람이나 사회적 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시설쯤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이번 사태를 겪으며 민간병원이 메르스 환자 또는 의심환자를 꺼리는 데 반해 공공병원은 음압시설을 갖추고 환자를 적극 수용하는 모습에서 그 가치를 정확히 이해했다는 얘기다. 공공병원은 평상시보다 국가 재산상황에서 진가를 발휘하는 법이다.
시민들은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머리로 헤아리기보다 경험으로 헤아리는 지혜를 깨닫고 배우고 있음이다. 이런 깨달음은 자연스레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를 돌이켜보게 한다.

2013년 2월, 경남도가 늘어나는 부채와 적자를 이유로 더 이상 공공병원을 이끌어 갈 수 없다고 선언했다.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을 밝힌 셈이다. 이어 ‘강성‧귀족노조’ 때문이니 공공병원으로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이니 하는 이유를 댔지만, 이후 속속 드러나는 객관적 자료와 논거 앞에 명분은 약해보였다.

그럼에도 결과는 진주의료원 폐업으로 이어졌다. 관련 정보에 취약한 도민들의 여론을 등에 업은 결과였다. 복지정책에 소극적인 현 정권과 보건복지부도 겉으론 공공병원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은근히 이를 묵인했다.

그로부터 불과 2년이 지난 지금, 위험한 전염병 의심환자를 그저 ‘집에 가만있어라’는 게 정부의 조치였고 보면, 2년 전 취한 진주의료원 폐업이 얼마나 잘못된 일인지 알 수 있음이다. 지금이라도 경남도는 진주의료원을 재개원 해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