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회원국 가운데서는 그리스, 터키, 아이슬란드 3개국이 있고 그 외 국가를 보자면 베트남, 스리랑카, 몽골, 북한 등이 있다. 이 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국정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주의 국가인 러시아나 중국도 검인정이다. 과거를 돌이켜 보면 독일도 국정 교과서를 채택한 적이 있다. 히틀러가 지배하던 광기의 나치시대 하에서 그랬다. 그럼 우리나라는? 과거 일제시대, 이승만 대통령 때도 검인정이었다가 유신 체제가 들어서고 1974년 국정으로 퇴행했다가 민주화가 이행되면서 다시 검인정 교과서로 돌아 왔다.

세계적인 추세는 어떠한가? 교과서 발행 체제는 역사적으로 살펴 볼 때 국정에서 검인정으로 그에 한 발 더 나아가 자유발행제로 나가고 있다. OECD 34개 국가 중 절반인 17개국이 그렇다. 소위 문명화된 국가라면 자유발행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도종환 의원은 지난 30일 <한겨레신문>에 ‘역사교과서와 역사교육에 관한 문화적 권리 분야의 특별조사관의 보고서’ 전문을 공개했다. 파리다 샤히드 특별조사관이 2013년 유엔 총회와 2014년 유엔 인권위원회에 제출한 이 보고서는 바람직한 역사교육에 관한 국제사회의 ‘모범답안’으로 불린다. 모범답안의 내용에서 약간 발췌해 보자면 우선 역사교육에서 국정 교과서가 ‘지향’하는 하나의 해석과 하나의 교과서를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양한 시각과 토론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는 뜻이다.

또 역사교육의 목표를 “여러 맥락에서 자신과 다른 나라들의 문화적 유산에 접근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능력, 정보와 교육에 접근해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현실과 다른 이들의 관점을 이해하도록 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라고 정리했다. 특별조사관은 “이 보고서에 제시된 결론과 권유사항은 ‘역사는 언제나 다양한 해석의 대상’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데 기반 한 것”이며 “역사교육이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고 다양한 관점을 수용해야 한다는 원칙에 바탕 한 것”이라고 강조한다. 도종환 의원은 “정부가 국정 한국사 교과서로 회귀한다면 국제사회에서도 부끄러운 일이 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문득 작년 교학사 교과서 파동이 생각난다. 전국에서 거의 0% 대의 기이한 채택 율 을 보인 이 교과서의 한 내용을 보자. ‘일제 때 쌀을 수출했다(수탈당한 것이 아닌). 일본은 의병들을 소탕해야 했다. 의병들을 토벌하기 시작했으며..’ 소탕과 토벌이란 도적떼를 징치할 때나 쓰는 말이다. 도대체 누구의 관점에서 기술한 교과서인가? 우리나라 교과서인가 일본 극우파 교과서인가? 혹 이런 조악한 내용의 하나의 교과서로 아이들에게 역사 교육을 하자는 것일까?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