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손해배상 청구’ 으름장에 ‘흔들’.. "아름다운 꿈 계속 쫓길"

마을주민들의 적극적인 행동으로 마을 가까이 채석장이 들어서려던 계획이 멈췄다. 이로 인해 마을표정도 밝게 바뀌었다. 하지만 개발업체의 '손해배상 청구' 소식이 알려지면서 마을 전체가 뒤숭숭하다.
지난 봄과 여름, 조용하던 시골마을에 채석장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마을주민들의 걱정이 컸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개발업자들의 말만 믿고 사업에 동의했던 마을사람도 있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마을의 평화와 안녕이 더 중요하다는 쪽으로 여론이 바뀌었습니다.

마을주민들은 어떻게 하면 채석장을 막아낼 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마을이 지닌 가장 큰 특징인 청정함과 오랜 역사와 문화에 기대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산과 들을 헤치며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을 찾아 나섰습니다. 채석장 개발업체가 의뢰해 만든 환경영향평가서에는 보호해야 할 동식물이 별로 없다고 돼 있기에, 반대로 보호하고 보존해야 할 가치가 높음을 증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찾아낸 것이 수리부엉이, 수달, 삵의 흔적이었고 옆새우와 가재였습니다. 하나 같이 천연기념물 또는 멸종위기종으로, 환경부가 보호해야 한다고 한 동물들입니다.

그리고 또 찾아낸 것이 있으니 다슬기 화석, 공룡발자국, 오랜 성터와 도요지 등 여러 유적과 유물들이었습니다.

마을사람들에게는 이 모든 과정들이 마을을 향한 사랑이었고, 잊었던 기억의 되살림이었으며, 묻혀 있던 역사를 드러나게 하는 일이었습니다. 그야말로 ‘과거와 현재의 대화’요, 인간과 세대를 뛰어 넘는 ‘소통’이었던 셈입니다.

채석장을 막기 위해 마을주민들이 직접 천연기념물과 문화유적 등을 찾아 나서기도 했다. 아래는 옆새우(왼쪽)와 가재.
그 사이 개발업체는 채석장 사업을 일찌감치 포기했습니다. 주민들의 반발과 관련 기관의 환경영향평가서 보완 요구가 부담스러웠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이 사업에 이미 상당한 자금을 투자했기에 마을사람들을 향한 원망도 커 보입니다.

어쨌거나 이 마을은 한 동안 채석장 시름을 잊게 생겼습니다. 그래서 ‘결사저지’ 등의 거친 구호가 적힌 펼침막은 사라지고, ‘수리부엉이가 사는 마을’ 등 생명과 사랑, 평화와 여유가 물씬 풍기는 펼침막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이를 마을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의 결과라고 불러도 좋을까요? 아니면 인간과 시간을 뛰어넘은 ‘소통’의 결과라 해야 될는지요.

그러나 요즘 들어, 이 참여와 소통이 가져다 준 생명과 사랑, 평화와 여유가 또 다른 시련으로 퇴색하는 듯해 안타깝습니다.

채석장 개발업체는 마을주민들의 반대로 많은 손해를 봤다며 그 책임을 묻겠다고 통보했습니다. 그러자 개발업체 쪽에서 일을 도왔던 사람과 그 반대쪽에 있던 사람들 사이에 간극이 더 커졌습니다. 심지어 마을사람들 사이에 형사고발까지 벌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누구를 탓하고 누구를 원망해야 할까요?

'주민의 힘으로 마을을 살렸다'는 펼침막에서 주민들의 자부심이 느껴진다.
굳이 채석장이 아니어도, ‘개발’의 칼바람은 도시와 시골을 불문하고 그곳 사람과 자연에 시린 상처를 주곤 합니다. 어쩌면 산과 강이 파헤쳐지는 것 이상으로 마을의 공동체성, 사람들 마음의 연결고리를 끊어 놓곤 하지요. 그 피해는 분명 몇 푼의 돈, 그 이상입니다.

개발업체는 마을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처럼, 채석장 개발을 완전히 포기한 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또 손해에 따른 금전적 책임을 묻겠다고 으름장을 놓으면서, 마을사람들의 분열을 기다리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아니겠지요. 개발을 꿈꾸는 많은 업체들이 그러하듯, ‘민원인 길들이기’ 또는 ‘아니면 말고’ 식의 그런 소송 전초전도 정말 아니길 빕니다.

꼭 필요하고 해야 할 사업이라면 더 꼼꼼히 준비해서 관련 기관으로부터 믿음을 사고, 또 사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며 민원인들을 설득해야 할 것입니다. 그 내용과 형식에 진정성이 있다면 해당 마을주민들이 아닌, 바깥의 더 많은 시민들로부터 타당성을 인정받을 것입니다.

행정기관에서 늘 말하는 것처럼, 사업주가 뭔가 개발행위를 함에 있어 관련 마을주민들의 동의서가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니, 사업포기 탓을 이들에게 돌리는 것도 아름답지 않습니다.

마을 곳곳에 뿌듯함이 배어 있는 펼침막이 나붙었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얼마 크지도 않은 개발에 호들갑을 떤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해당 마을사람들에게는 멀리서 일어나는 대규모 바다매립사업보다, 수 백 만평 국가산업단지조성사업보다 더 큰 문제로 와 닿을 수밖에 없겠지요.

“공룡 다슬기 화석으로 살아 숨 쉬는 마을” “수리부엉이가 사는 아름다운 마을” “옆새우와 가재가 사는 깨끗한 마을”...

이들의 자부심이 상처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자신의 삶터를 소중히 여기는 아름다운 마음으로, 잠시 일었던 거친 ‘개발 바람’의 상처까지 잘 추스르길 빌겠습니다. 나아가 조용한 마을에 행해지는 무심한 돌멩이질도 여기서 멈추기를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