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달래

겨울 동안 미뤄두었던 산 오르기를 시작했다. 첫 산은 옆 동네 월아산. 초봄에 오르는 산은 다소 칙칙하구나 생각하며 산 입구에 접어든다. 아직 지난겨울의 낙엽과 열매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많은 나무가 앙상한 가지에 겨울눈을 달고 있다. 꽃과 푸르른 잎을 틔우려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 개암나무의 암꽃은 빨리 피긴 했으나 너무 작은 탓에 존재감이 없다. 다만 간간이 생강나무 노오란 꽃이 산에도 봄이 시작되었음을 알릴뿐이다.

그러나 아니었다. 조금 더 깊이 오르니 한 무리의 분홍색 꽃이 이곳저곳에 피어나 있었다. 누구나 다 아는 꽃, 바로 진달래였다. 진달래는 산속에서 무리지어 피어있는 모습이 가장 아름답다. 그 분홍빛 진달래가 칙칙한 겨울의 흔적을 걷어내고 있었다.

진달래는 오랜 시간 우리의 봄 산을 지켜온 나무이다. 꽃은 3~4월에 가지 끝에 몇 송이씩 모아서 달리고 잎보다 먼저 꽃을 피운다. 색깔은 연분홍이고 깔때기 모양의 통꽃이다. 그 통꽃을 자세히 보면 안쪽에는 자주색 반점이 덕지덕지 찍혀 있고 10개의 수술과 수술보다 긴 1개의 암술이 있다. 그 반점은 주근깨 같고, 암술과 수술은 마치 긴 속눈썹 같다.

먹지 못하기 때문에 ‘개꽃’이라고 부르는 철쭉과 달리 진달래는 꽃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참꽃’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진달래로 전을 부쳐 먹고 하루를 놀았던 화전(花煎)놀이가 전해진다. 집안의 남정네들이 솥뚜껑 등 무거운 짐을 들어 나르고 냇가에 돌을 모아 화덕을 지펴놓고 슬그머니 사라진다. 아낙들은 솥뚜껑을 뒤집어 놓고 참기름을 두르고 찹쌀가루 반죽에 진달래 꽃잎을 올린 화전을 지져먹는다. 요즘말로 ‘츤데레’같은 남정네들의 도움에 힘입어 모처럼 여유를 가진 아낙네들의 웃음이 가득했을 화전놀이이다. 상상만으로도 한 폭의 수묵화 같은 풍경이다.
 
진달래는 오랜 시간 우리와 함께한 터라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도 많고, 우리 문학과 그림에도 자주 등장한다. 성은 진이요, 이름은 달래인 진달래에 관련한 이야기에서부터 “영변에 약산 / 진달래꽃 /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의 김소월의 <진달래꽃>까지. 또한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한 노인이 수로부인에게 따주었다는 꽃도 바로 진달래다.

중국에서는 진달래를 ‘두견화(杜鵑花)’라고 부른다. 중국 촉나라의 망제 두우가 전쟁에 패망하고 나라를 잃고 죽어서 두견새가 되어 매년 봄이 오면 피눈물을 흘리며 온 산천을 날아다니는데 이 눈물이 떨어져 핀 꽃이 바로 진달래라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두견새의 입 속 색깔이 진달래처럼 붉어서 이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고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같은 집안인 진달래 종류가 몇 가지 있다. 흰 꽃이 피는 흰진달래, 잎 자루에 털이 있는 털진달래, 잎이 넓은 왕진달래, 잎 표면에 돌기가 있고 윤이 나는 반들진달래, 열매가 가늘고 길며 한라산에서 자라는 한라산진달래가 그것이다. 사실 이런 종류의 진달래는 만나기 어렵다. 오히려 진달래와 늘 비슷비슷해 보이는 철쭉과 다양한 색깔의 연산홍을 보고 진달래를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봄은 생각보다 짧다. 오는 주말에는 아이들과 함께 진달래의 주근깨와 속눈썹을 살피러 가까운 산으로 올라가 보자.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