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2021 쉬운 우리말 쓰기 : 품고 배려하는 말과 글 ⑦

이 기획 보도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가 주최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에 선정된 뉴스사천이 경상국립대 국어문화원의 도움으로 진행한다. 여러 사회복지기관의 협조로 그들의 누리집을 더 쉬운 표현으로 바꾸는 방안을 찾는다. -편집자-

[뉴스사천=하병주 기자] 사천지역자활센터의 누리집을 살피는 두 번째 시간이다. 지난 기사에선 지역자활센터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집중해 살폈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정하고 있는 딱딱한 개념보다는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게 좀 더 쉬운 표현으로 바꿀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그 연장선에서 하나 더 살필 점이 있다. 지역자활센터의 여러 사업에는 누가 참여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다. 곧 사업의 대상자를 정의하고 설명하는 일이다. 이게 생각만큼 간단치가 않다.

사천지역자활센터누리집.
사천지역자활센터누리집.

먼저 사천지역자활센터의 누리집은 자활사업의 종류와 유형을 소개한 뒤 ‘기초생활 수급자’, ‘자활급여 특례자’, ‘특례수급 가구의 가구원’, ‘차상위자’, ‘시설 수급자’를 자활사업의 참여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각각의 개념을 소개했는데, 비교적 쉬운 말로 표현하려 애쓴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상위자’를 ‘근로 능력이 있고,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인 사람을 말합니다. 생활 수준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별반 다를 바가 없지만, 일정 재산이 있어 수급자에 선정되지 못한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지역자활센터에서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사람 중 비수급권자’라거나 ‘소득 인정액이 최저생계비의 120% 이하인 자’로 간단히 소개한 것보다 낫다고 경상국립대 국어문화원(이하 국어문화원)은 평가했다.

다만 아쉬운 점으로는 ‘참여 조건’의 설명 끝에서 ‘본인이 자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다면 시군구청 사회복지담당부서나 읍면동 주민센터 사회복지사를 찾아가면 됩니다.’라고 언급한 부분을 꼽았다. 

이를 두고 국어문화원은 “누리집에 대상자의 자격을 최대한 상세히 제시해야 보는 이의 불편도 덜고 추가 민원에 따른 행정력 낭비도 막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의견을 냈다. 또 “‘(사회복지사를) 찾아가면 된다’라는 표현보다는 ‘상담으로 확인할 수 있다’라거나 ‘상담 후 신청하면 된다’라는 표현이 복지 대상자를 더 배려하거나 친절한 느낌이 있다”라고 했다.

그러나 이 의견에 사천지역자활센터 강기동 센터장은 숨은 고충을 토로했다. 그는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자’ 등은 그 사람의 소득과 재산 현황, 가족 관계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해당 여부를 알 수 있다”며, “전문 사회복지사나 행정기관의 상담 없이 자신이 어느 범위에 드는지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라고 말했다. 자활사업의 참여 대상을 누리집에서 자세히 소개하거나 제시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사천지역자활센터의 누리집에서 국어문화원이 주목한 다른 하나는 ‘자활기업 안내’에 등장하는 ‘탈빈곤’이란 표현이다. ‘빈곤’이란 용어가 아직은 차별적이거나 비하적인 표현은 아니라고 봤다. 참고로 국립국어원은 ‘하우스 푸어’를 ‘내집 빈곤층’, ‘메디컬 푸어’를 ‘의료 빈곤층’으로 다듬어 쓰자고 제안하고 있다.

사천시지역자활센터는 ‘기초생활 수급자’, ‘자활급여 특례자’, ‘특례수급 가구의 가구원’, ‘차상위자’, ‘시설 수급자’를 자활사업의 참여 조건으로 제시한다.
사천시지역자활센터는 ‘기초생활 수급자’, ‘자활급여 특례자’, ‘특례수급 가구의 가구원’, ‘차상위자’, ‘시설 수급자’를 자활사업의 참여 조건으로 제시한다.

문제는 ‘빈곤’ 또는 ‘빈곤층’이란 표현이 언제든지 비하적 표현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김민국 국어문화원장은 “‘탈빈곤’은 과정이지 목표는 아닐 것”이라며, “행복한 삶을 지향하면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존감도 잃지 않는 새로운 용어를 찾아야 할 것 같다”라는 의견을 냈다.

국어문화원은 이 밖에 어려운 전문(행정·법률) 용어나 불필요한 영어식·한자식 표현 사용을 자제할 것도 당부했다. 대표적인 게 지역자활센터마다 공통으로 쓰는 ‘게이트웨이’이다. 이 용어는 ‘자활사업 참여 전 진입 과정’쯤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전문 용어를 자세한 설명이나 다듬은 말 없이 그대로 제시하면, 정보를 얻기 위해 누리집에 접속한 사람들로선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런 뜻에서 ‘게이트웨이 사업단’을 ‘첫걸음 사업단’으로 바꿔 보면 어떨까. 다른 여러 사업과 사업단 이름을 지을 때도 이런 고민을 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