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치료시설에서 손발 묶인 채 숨진 장애아 한줌 재로 훨훨

대구의 한 심리치료시설에서 손발이 묶인 채 숨진 장애아동이 6일 주검으로 고향땅 사천을 찾았다. 유족들은 그 아이에게 마음껏 다녀라고 빌며 보냈다. 화장한 뒤 재가 뿌려진 소나무숲.
“잘 가! 엄마 아빠 보고 싶을 때 언제든지 와! 이젠 자유롭게, 마음대로 다녀!”

지난 4일 대구의 한 심리치료시설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된 뒤 5일 부검을 마친 이아무개(10) 어린이의 유해가 오늘(6일) 아침 사천에 도착했다. 이 군은 곧바로 사천시공설화장장으로 옮겨져 유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줌 재로 변했다.

이 군의 부모와 유가족들은 곧바로 인근 고성군에 있는 선산으로 이동해 곧게 뻗은 소나무숲 속에서 이 군을 떠나보냈다. 이 군의 부모는 재로 변한 아들을 소나무숲 곳곳에 흩어주며, 엄마 아빠 보고 싶을 때 언제든지 오라는 말과 이젠 자유롭게 다녀란 말을 되뇌었다. 이를 지켜보는 유가족들은 아이의 이름을 부르며 슬피 흐느꼈다.

장례식은 간단히 끝났다. 하지만 유족들의 슬픔과 회한은 쉬이 가라앉지 않았다. 아이가 사망에 이르게 된 과정이 석연치 않음과 대한민국에서 장애아동을 키우는 설움까지 한꺼번에 쏟아졌다.

“아이가 이상 반응을 보이면 부모한테 전화라도 해야 하는데, 아무런 연락도 없이 아이를 그리 묶었다가...”

이 군의 아버지는 한줌 재로 변한 아들을 움켜쥐고 흐느꼈다.

이 군의 아버지는 말을 끝까지 잇지 못했다. 그가 못 다한 말은 이 군의 큰아버지가 이었다.

“아이가 무슨, 혼자 목뼈를 다칠 수 있나. 손발에 든 피멍을 보면 얼마나 세게 묶였는지 알 수 있다. 그 과정에 사고가 일어난 것이지, 자고 일어나보니 숨을 쉬지 않더라는 게 말이 되나?”

이 군의 사망원인에 관해서는 경찰이 사체부검 한 5일 저녁 “1,2번 경추 탈골에 의한 척추 손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제의 아동놀이치료센터 원장은 “아이의 손발을 묶긴 했어도 그 외 가혹행위는 하지 않았다”고 진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군 유가족들은 원장을 구속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아직 경찰은 신중한 반응이다. 기본적인 조사를 좀 더 한 뒤에 구속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유가족들은 국가에 원망도 컸다.

“이번 일을 겪으면서 국가가 얼마나 장애아동들에 대한 배려가 없는지 알게 됐다. 장애가 있는 애를 키우는 게 얼마나 힘든지, 경험 없는 사람은 절대 모른다.”

실제로 이 군 부모는 아이 치료를 위해 이사도 다녔고, 직장도 바꾸면서 정성을 쏟았다고 한다. 이 군 큰아버지의 얘기는 계속된다.

이 군을 보내고 있는 부모.

유가족들은 이 군을 지켜주지 못해 더 슬프다.
“애를 맡았던 곳을 보자. 정상적인 애들도 아니고 장애가 있는 애들이 스물 명 정도 있었다는데 관리하는 사람이 고작 두 명이었다. 국가가 허가해 만들어진 시설도 아니고 그저 민간협회에서 내주는 치료사 자격이 전부란다. 믿고 맡길 만한 곳이 없으니까 우리는 이런 시설에라도 맡길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대학에서 자폐아동 특수교육을 가르치는 한 교수의 말이 충격적이다.

“자폐아동을 묶어서 방치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너무 놀랍고 가슴이 뛴다. 아주 심할 경우 약물로서 진정시키는 것이 기본이다. 어쩔 수 없이 묶었다하더라도 아주 잠시 해야 하고, 그동안 곁에서 꾸준히 지켜봐야지 방치하는 것은 더욱 용납할 수 없다.”

그는 유가족들의 지적에도 동의했다.

“국가는 ‘치료’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자격을 극히 제한하고 있는데, 민간협회에서 우후죽순 남발하고 있어 이런 사태를 부른 것 같다. 보호아동 19명에 치료사 2명이 관리했다는 것도 말이 안 된다. 이런 경우 적어도 보조교사가 1대1로 붙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현재 법률에서는 학교의 특수학급 장애아동 기준인원을 유치원4명, 초등6명, 중6명, 고7명으로 정하고 있다. 그런데 숨진 이 군이 머물던 놀이치료시설에는 19명이 있었다. 만약 모든 장애아동을 초등학생쯤으로 보더라도 전문 교사급 4명이 확보돼야 했다는 소리다.

숨진 이 군의 영정.
발달장애2급, 이른바 자폐증을 앓던 아이는 싸늘한 주검으로 변하고서야 자유로운 몸이 되었다. 이 군은 어쩌면 보통사람들과 다르게 소통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것을 알아듣지 못하고 눈치 채지 못하는 우리는 또 다른 ‘자폐’를 앓고 있는 건 아닐는지.

큰 슬픔 속에서도 이 군 유족들은 되레 의연했다.

“이미 떠나보낸 아이, 어떡하겠습니까! 또 다른 ○○이 나오지 않도록 뭔가 대책이 선다면 이 슬픔이 덜할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