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사천의 마을 숲 ⑫

코로나19로 새삼 깨닫는 것이 숲의 소중함이다. 특히나 마을 숲은 역사가 깊으면서도 늘 사람들 곁에 있어서 삶의 희로애락이 짙게 밴 곳이다. 숲 해설가와 함께 사천의 마을 숲과 그 속에 숨은 이야기를 찾아 나선다.    - 편집자-

사남면 월성리 월성못에 있는 월성못숲. 월성마을의 못과 숲은 산책로이자 운동하기에 좋은 소공원이다. 가까이 있는 주민들이 잠시 나와서 쉬었다 가기에 안성맞춤이다
사남면 월성리 월성못에 있는 월성못숲. 월성마을의 못과 숲은 산책로이자 운동하기에 좋은 소공원이다. 가까이 있는 주민들이 잠시 나와서 쉬었다 가기에 안성맞춤이다

[뉴스사천=박남희 시민기자/숲 해설가] 월성못숲은 사남면 월성리 월성못에 있는 숲이다. 빙둘러 선 나무들이 못을 감싸며 자연스럽게 숲이 되었다. 입구에 선 안내판에는 월성소공원이라고 되어 있다. 아름드리 큰 나무들이 만들어 내는 깊은 그늘과 못 가득 피어나는 분홍빛 연꽃이 더해지는 한여름이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이제는 꽤 유명해져 못과 숲으로써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행정에서는 못보다 ‘소류지(沼溜地)’란 표현을 주로 쓴다. 월성소류지 또는 지내소류지라고 불린다. 소류지(沼溜地)란 하천이 잘 발달되지 않은 지역에서 경작지에 공급할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평지를 파고 주위에 둑을 쌓아 물을 담아 놓은 작은 저수지를 말한다. 댐, 저수지, 소류지, 못, 둠벙(웅덩이) 등 농업을 주로 해왔던 한반도 곳곳에는 공공 관리주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는 물 저장소가 여럿 있다.

월성마을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이곳을 월성못이라 불러 왔다. 월성못이 익숙하니 여기서는 이 이름을 쓰는 게 알맞겠다. 월성못 아래로는 너른 들녘이 있다. 이 가운데 일부를 월성못이 책임졌다. 월성못숲은 못의 둑에 해당한다. 월성못숲에는 대표적으로 소나무와 팽나무가 멋스럽게 어우러져 있다. 못에는 오래전부터 연꽃이 자랐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못 가운데를 가로질러 탐방로가 들어서 있어 연꽃이 필 때면 가까이에서 연꽃을 볼 수 있다. 바로 옆 아파트 주민들이 주로 탐방객이다. 연 꽃 구경도 하고 짙은 그늘에서 휴식도 취할 수 있는, 작지만 귀한 숲이 월성못숲이다.

빙둘러 선 나무들이 못을 감싸며 자연스럽게 숲이 되었다.
빙둘러 선 나무들이 못을 감싸며 자연스럽게 숲이 되었다.

월성못숲을 구성하는 나무들의 크기를 보면 수령이 꽤 많을 성싶다. 200~300년은 족히 될 것 같다. 그만큼 월성못의 역사도 길다는 얘기다. 조선 후기(1872년)에 만들어진 지방지에 연못의 표시가 있는 것을 보면, 적어도 그 이전부터 이 못과 숲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사계절 농사를 살피는 농부처럼 들녘을 바라보고 선 소나무의 모양새는 한층 멋스럽다. 한 뿌리에서 두 줄기로 갈라져 하늘로 솟구친 소나무, 껍질이 벗겨져 붉은 속살을 드러내어 적송(赤松)임을 알리는 소나무도 있다. 또한 굽이굽이 꺾인 줄기는 세월의 풍파를 적지 않게 겪었음을 보여준다. 옛적엔 더 많은 소나무가 줄지어 서서 숲을 이뤘을 것이다. 생명을 다한 소나무도 보인다. 논두렁을 정비하고, 마을 길을 내면서 소나무는 점점 자람터를 잃었을 것이다.

숲의 팽나무도 크기가 엄청나다. 나무줄기가 아래부터 여러 줄기로 올라와 누운 듯 비스듬하게 자라는 게 특징이다. 마치 여러 나무인 듯 보이나 한 나무이다. 팽나무는 느티나무나 은행나무만큼 오래 산다. 힘겨워 보이는 모양새에 비해 열매를 주렁주렁 달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긴 세월 꿋꿋하게 살아온 듯싶다. 팽나무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척박한 땅에서도 끄떡없다. 흔하고 친근한 서민의 이미지까지 가진 탓인지 농사에 얽힌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봄에 일제히 잎이 피거나 윗부분부터 싹이 트면 풍년이며, 그 반대면 흉년이라는 말이 전한다. 즉 기상목(氣像木)의 역할을 해왔다. 월성 못숲의 팽나무도 너른 들녘을 바라보면서 풍·흉년을 점쳐오지 않았을까.

월성마을의 못과 숲은 산책로이자 운동하기에 좋은 소공원이다. 가까이 있는 주민들이 잠시 나와서 쉬었다 가기에 안성맞춤이다. 이 숲에서 느끼는 평안과 여유, 들녘을 바라보는 멋진 풍광을 더 많은 이와 누릴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이 글은 사천시 녹지공원과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