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앞 공원화 사업, 그 가능성을 찾다.

집근처에 쾌적하고 아름다운 문화 공간이 있다.
작심하여 굳이 큰 공원을 찾아 산책과 휴식을 취하는 것보다 바로 집 앞을 나서면 만나는 생활 밀착형 휴식 공간, 이런 공간이면 더욱 손쉽고 편안하며 즐거울 것이다. 집밖을 나서면 만나는 생활공간, 우리 집만의 닫힌 공간을 벗어나 집의 공간과 길거리 공간이 하나 되는 공간을 꿈꾼다. 저녁 먹고 가족끼리 오손도손 시냇물에 발 담그고 얘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 이웃집 찾아 가듯 울타리 없는 찻집에서 내 집 즐기듯, 가족끼리 이웃끼리 차 한 잔 나눌 수 있으면 바로 이것이 행복 아닐까.

▲ 담장을 낮게하여 정감어린 화단을 만들었다. 집 주인의 미감이 돋보인다.
▲ 담장 아래엔 예쁜 연못도 만들고.

평생 고생하여 마련한 나만의 소중한 공간을 바깥에 내놓기 쉽진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높은 담, 굳건한 대문으로 닫힌 폐쇄공간에서 어떻게 여유를 논할 수 있을까?

‘십 년을 경영하여 초가삼간 지어 내어
나 한 간, 달 한 간에 청풍 한 간 맡겨 두고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던 선인의 여유가 오늘 날 요구된다.

담장 밖의 여유로운 삶의 공간을 전북 전주시 교동 한옥 마을에서 그 가능성을 엿보았다.
▲ 담장 없앤 가정집 형태의 찻집. 시원한 개방감으로 동네가 집안으로 들어와 있다.

내 집 담부터 허물자!

10여 년 전부터 도심에 내 집 담장 허물기 사업이 있었다. 각 가정은 물론 관공서도 이에 맞춰 담장을 허물어 개방감을 살렸다. 그런데 가정집 담장 허물기 사업은 그 목적부터 도시 환경꾸미기 사업과는 동떨어진 사업이었다. 바로 부족한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었고, 이에 지차체가 사업비를 보조해 주는 식이었다. 그러니 벽돌로 된 담장과 둔한 철제나 목재 대문 대신 상하 개폐식 스테인리스 주름 대문으로 교체되는 식이었다. 울타리 허물기의 본래 취지와는 어울리지 않는 사업이었다. 그나마 간신히 유지되던 울타리 없애기 사업은, 이제 재개발, 주거 시설 개선사업 등으로 단독주택이 날로 없어져 가는 마당에 흐지부지 되고 말았다.

▲ 낮은 담장 위의 조형 꽃밭. 이웃을 배려하는 주인의 따뜻한 마음씨를 엿본다.
▲ 조형 꽃밭과 주름발로 살짝 가린 살림집 내부가 조화를 이룬다.

다행히 지방 도시에 많이 남아 있는 단독주택 단지나 새로이 조성할 단독주택 단지에서는 담장 없는 마을을 적극 만들어 보자. 개인 사생활 보호, 보안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겠으나,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문제는 별도의 연구 과제다. 공동주택이나 단독 주택 막론하고 담장 없애기 사업은 도시 환경 사업의 시범적 사업으로 적극 고려되고, 추진해 볼 만한 과제이다. 어울려 사는 인간 세상을 만들어 가는 사업이므로 인간성 도모에도 도움이 될 거다. 아까운 나의 공간을 아무런 경계도 없이 내 놓기가 조심스럽고 아깝다면, 아름답고 낮은 울타리로 시원하게 개방시켜 보자.
나만의 폐쇄된 공간을 이웃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만들어 삶의 여유와 아름다움을 추구해 본다. 외부로 드러나는 멋진 공간이 그 집의 특색을 잘 나타내는 이미지 공간으로 만들어졌으면 한다.

지자체 이것부터 챙겨라!

우리나라 각 지방자치 단체마다 경쟁적으로 하고 있는 사업이 있다. 바로 자전거 전용 도로 와 산책로 만들기다.
이른 바 웰빙과 녹색 바람을 타고 어느 도시건 더 많이 더 빨리 이 사업을 하느라 분주하다.
정작 내가 사는 동네 주변에 쓰레기나, 하수구는 제대로 정비하지 하지 못한 채, 도심 간선도로변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내고 저 멀리 도심 외곽에도 큰 돈 들여 길을 내고 있는 것이다. 의문이 있다. 큰 돈을 들여 도심 간선도로변에 만든 자전거 도로로 항상 출퇴근하는 사람, 늘 자전거 타면서 여가 선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내가 사는 동네의 주변 골목길 정비가 먼저다. 식사하고 한 바퀴 쾌적하게 걸어보고, 집 앞에서 차 한 잔 나눌 수 있는 그런 아름다운 도로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어린 시절의 간절한 추억 하나 있다. 우리 집 앞에 빨래터가 있었다. 시냇물을 이용한 빨래터였다. 여름이면 여기서 세수도 하고, 멱도 감고, 풋감도 묻어 두고 삭여 먹었다. 동네 아주머니들의 노변정담은 말할 것도 없다.

▲ 관광용 웅장한 분수가 아니라 동네 길에서 만나는 작은 분수. 가정집 낮은 담장과 어울리는 생활 속 분수다.
바로 도심에 시냇물을 살리자. 자연스럽게 흐르는 시냇물을 잘 모아 담아서 동네 가운데를
조금씩 흐르게 하면 어떨까? 자연스럽게 흐르던 시냇물마저 콘크리트 더미로 관로 개수 공사한답시고 형편없는 시궁창으로 만들어 버리는 우를 범하지 말고.
▲ 동네길을 따라 시냇물이 한 바퀴 휘돌아 간다. 단순히 물의 흐름만 있는 게 아니라, 졸졸졸 흐르는 물소리며 때론 작은 폭포를 이루고 때론 작은 웅덩이를 이루는 등 물의 기능을 최대한 살린 점이 인상적이다. 시냇가에 가족 쉼터가 조성되어 있다.

한편 나라에서는 4대강을 정비하여 물도 살리고, 각종 용수도 확보하고, 삼천리 방방곡곡 자전거로 달리고 도보전용 공원과 문화 센터도 만들어서 국민 개인의 행복지수를 높여 나간다고 한다.

나는 우리 동네 가까운 데서 행복지수를 높이고 싶다. 내가 사는 우리 동네 주위를 건강하게 걸으면서 이웃과 더불어 문화를 즐기고 싶은 것이다.

소시민들은 자동차 타고 멀리 나가서 만나는 그런 큰 공원은 번거롭고 피곤하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